사서 중 하나인 맹자에 나온 부모와 자식의 간 교육에 관한 구절을 살펴보겠습니다.

 

公孫丑曰君子之不敎子(공손축왈군자지불교자)는 :

공손추가 말하기를, 군자가 자기 자식을 가르치지 않는 것은

何也(하야)잇고 : 무슨 까닭입니까

孟子曰勢不行也(맹자왈세불행야)니라 :

맹자가 말씀하시기를 형편상 시행하지 않는 것이니라

敎者(교자)는 : 가르치는 사람은

必以正(필이정)이니 : 반드시 바른 길로써 할 것이니

以正不行(이정불행)이어든 : 바른 길을 가르쳐서 행하지 아니하면

繼之以怒(계지이노)하고 : 노함으로써 계속할 것이며

繼之以怒(계지이노)면 : 성내는 것으로 이어가게 되면

則反夷矣(칙반이의)니 : 도리어 해롭느니라

夫子敎我以正(부자교아이정)하시되 : 아버지께서 나를 바른 길로 가르쳐 주시지만

夫子(부자)도 : 아버지께서도

未出於正也(미출어정야)라하면 : 바른 길을 행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냐 한다면

則是父子相夷也(칙시부자상이야)니 : 이것은 부모와 자식이 서로 손상하는 것이니

父子相夷(부자상이)면 : 아비와 자식 사이에 서로 손상하게 되면

則惡矣(칙악의)니라 : 좋지 못하느니라

古者(고자)에 : 옛날에는

易子而敎之(역자이교지)하니라 : 자식을 바꾸어서 가르쳤느니라

父子之間(부자지간)은 : 아버지와 자식 사이에는

不責善(불책선)이니 : 선으로 책하지 아니하나니

責善則離(책선칙리)하나니 : 선을 책하게 되면 마음이 멀어지게 되며

離則不祥(리칙불상)이 : 마음이 멀어지면 상스럽지 못한 일이

莫大焉(막대언)이니라 : 이보다 더한 것이 없느니라

 

부모가 자식을 가르침에 있어 가장 큰 어려움을 명료하게 표현해 놓았습니다.

남의 스승이라 부를 수 있는 군자도 자식교육만큼은 딱히 방법이 없었던 모양입니다.

하지만 이 구절은 "아, 그렇구나. 내가 자식을 잘 가르칠 수 없는 것이 당연한 것이었구나."로만 새기기에는 부족한 듯 합니다.

오히려 이런 어려움이 있으니 더욱 더 힘써 본보기를 보여야한다는 일종의 '강조'가 아닐까요?

군자의 이런 모습에 한편으로 위로가 되면서도 또 다시 피할 수 없는 어려움을 마주하게 됩니다.

 

 

Posted by 젊은 시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