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가 자식에게 영향을 준 단편적인 사례를 단지 교훈적인 측면에서 올리지는 않겠습니

다.

생각할 거리가 있는 사례를 올리겠습니다.

 

대처의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는 이런 딸을 키우기위해서는 이렇게 해야한다고 읽기보다는 자신의 관심과 생각을 자녀와 나누는 구체적인 방법의 한 형태로 받아들이면 좋겠습니다.

 

물론, 자신의 관점이 자녀에게 주입되거나 강요되어선 안되겠지요.

 

자식이 사회적으로 성공했느냐와 행복한 사람인지는 질적으로 다른 문제이니까요.

 

우리도 경험적으로 잘 알고 있듯이 말입니다.  

 

 

 

대처를 만든 아버지

 

아버지와 함께 인생의 큰 그림을 그려 인생을 개척한 아이 - 영국 수상 마거릿 대처(Margaret Thatcher)

 

  대처의 아버지는 동네 구멍가게를 운영했다. 하지만 지역공동체의 일에 관심이 아주 많은 지역의회의 일원이기도 했다. 대처의 아버지는 자신의 딸 대처와 함께 돌아가는 일에 대한 이야기를 끊임없이 했다. 일부러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오라는 심부름을 시키기도 하고, 지역 정치인들의 연설이 있는 날에는 누가 어떤 말을 했는지 직접 듣고와서 전해달라고 부탁하기도 했다.

  대처는 이를 위해 연설을 꼼꼼히 듣고, 그날의 의제와 안건, 사람들의 반응을 자세하게 전했다. 대처의 아버지도 그냥 듣고 넘기는 것이 아니라 아직 어린 대처가 이해하기 어려운 정치 용어를 쉽게 풀어 알려주며 연설에서 중요한 포인트에 대한 이야기도 나누었다. 이런 경험이 처의 인생의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는 그녀가 어떤 삶을 살았는지를 통해 증명되었다. 그 시절 대부분의 영국 여인들의 꿈은 현모양처가 되는 것이었고, 자신을 치장하고 집을 잘 꾸미는 것이 여자의 임무였다. 여자가 공부를 하는 것은 비웃음거리로 여겨졌지만 이미 대처의 마음속에는 큰 그림이 자리 잡고 있었다.

 

  보수당의 당수였던 마거릿 대처는 여성으로서는 최초로 수상직에 올랐으며, 1979년부터 1990년까지 11년간 집권한 최장기 수상이라는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뉴욕 타임즈>가 섲정한 지난 1000년간 세상을 바꾼 13명의 인물 중 한 명으로도 꼽힌다 그녀에게 남들과 같은 틀에 얽매어 살기보다는 독립된 개체로서 의미있는 일을 하며 살고 싶다는 마을을 일깨워준 것은 아버지 였다.

  아버지는 어린 대처가 인생을 사는 데 지지대가 되는 짧은 좌우명을 새겨주었다. 그녀가 평생을 가슴에 지니고 살았던 아버지의 가르침은 다음과 같다.

 

"네 머릿속에서 어떤 '생각이 일어나는지 살펴라. '생각'을 하다보면 말을 하게 된다.

 어떤 말을 할 것인지 살펴라. 말을 하면 행동으로 이어지게 된다.

 행동을 살펴라. 반복하면 습관이 된다.

 습관을 살펴라. 그것이 쌓이면 성격이 된다.

 성격을 살펴라. 그것이 바로 너의 운명이 된다."

 

우리는 잘하고 있는 것일까? - 송은주 지음, p259-261 중에서.

 

 

 

 

 

 

'아버지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버지 연구 / 고전] 맹자 이루장구 상 18  (0) 2015.10.26
[아버지 연구] 시작  (0) 2015.10.26
Posted by 젊은 시인
:

사서 중 하나인 맹자에 나온 부모와 자식의 간 교육에 관한 구절을 살펴보겠습니다.

 

公孫丑曰君子之不敎子(공손축왈군자지불교자)는 :

공손추가 말하기를, 군자가 자기 자식을 가르치지 않는 것은

何也(하야)잇고 : 무슨 까닭입니까

孟子曰勢不行也(맹자왈세불행야)니라 :

맹자가 말씀하시기를 형편상 시행하지 않는 것이니라

敎者(교자)는 : 가르치는 사람은

必以正(필이정)이니 : 반드시 바른 길로써 할 것이니

以正不行(이정불행)이어든 : 바른 길을 가르쳐서 행하지 아니하면

繼之以怒(계지이노)하고 : 노함으로써 계속할 것이며

繼之以怒(계지이노)면 : 성내는 것으로 이어가게 되면

則反夷矣(칙반이의)니 : 도리어 해롭느니라

夫子敎我以正(부자교아이정)하시되 : 아버지께서 나를 바른 길로 가르쳐 주시지만

夫子(부자)도 : 아버지께서도

未出於正也(미출어정야)라하면 : 바른 길을 행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냐 한다면

則是父子相夷也(칙시부자상이야)니 : 이것은 부모와 자식이 서로 손상하는 것이니

父子相夷(부자상이)면 : 아비와 자식 사이에 서로 손상하게 되면

則惡矣(칙악의)니라 : 좋지 못하느니라

古者(고자)에 : 옛날에는

易子而敎之(역자이교지)하니라 : 자식을 바꾸어서 가르쳤느니라

父子之間(부자지간)은 : 아버지와 자식 사이에는

不責善(불책선)이니 : 선으로 책하지 아니하나니

責善則離(책선칙리)하나니 : 선을 책하게 되면 마음이 멀어지게 되며

離則不祥(리칙불상)이 : 마음이 멀어지면 상스럽지 못한 일이

莫大焉(막대언)이니라 : 이보다 더한 것이 없느니라

 

부모가 자식을 가르침에 있어 가장 큰 어려움을 명료하게 표현해 놓았습니다.

남의 스승이라 부를 수 있는 군자도 자식교육만큼은 딱히 방법이 없었던 모양입니다.

하지만 이 구절은 "아, 그렇구나. 내가 자식을 잘 가르칠 수 없는 것이 당연한 것이었구나."로만 새기기에는 부족한 듯 합니다.

오히려 이런 어려움이 있으니 더욱 더 힘써 본보기를 보여야한다는 일종의 '강조'가 아닐까요?

군자의 이런 모습에 한편으로 위로가 되면서도 또 다시 피할 수 없는 어려움을 마주하게 됩니다.

 

 

Posted by 젊은 시인
:

기존 아버지에 대한 연구는 부모인 아버지가 자녀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부분의 관심이 쏠려있었습니다.

 

하지만 간과해서는 안될 부분은 아버지라는 존재 자체가 아닐까요.

 

이 범주는 고전과 주변에서 발견할 수 있는 아버지의 존재를 탐구해보려는 첫 시도입니다.

 

물론 아버지에 대해 논하려면 그 존재와 연결되어 있는 다양한 관계없이 설명할 수 없겠죠.

 

그래서 최대한 많은 사례와 이론을 두서없이 나열해본 뒤 서서히 정리해보려합니다.

 

아직 시작일 뿐이지만, 점점 나아질 것입니다!

 

 

 

 

Posted by 젊은 시인
: